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골대사학회

초대의 글

존경하는 대한골대사학회 회원 여러분

  회원 여러분의 지속적인 성원과 적극적인 참여에 힘입어 대한골대사학회는 2025년 11월 7일(금)부터 8일(토)까지 제26차 연구워크숍과 제37차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올해에도 예년과 같이 서로의 지식과 경험을 나누며 연구 의욕을 북돋우고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뜻깊은 시간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이번 제26차 연구워크숍은 근골격계 연구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 세 가지 세션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첫 번째 세션인 “Advanced Biotechnologies for Cellular Engineering and Therapeutics”에서는 차세대 세포 치료와 유전자 기반 정밀의학 기술의 최신 연구를 조명합니다. 두 번째 “Live Workshop of Research Skills” 세션은 C. elegans 모델과 in vitro 운동모델을 활용한 실제 연구 방법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마지막 “From AI to Drug Development: New Horizons in Musculoskeletal Research” 세션에서는 AI와 약물 개발의 융합을 통한 근골격계 정밀의료의 미래를 제시하며, 기초에서 임상으로 이어지는 통합적 연구 방향을 제안합니다.

  제37차 추계학술대회에서는 다양한 연구 분야를 선도하는 국내외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근골격계 질환의 최신 지견과 미래 방향을 심도 있게 논의하는 학문적 교류의 장을 마련하였습니다. Plenary Lecture에서는 Jean-Yves Reginster 교수님께서(WHO Collaborating Center for Epidemiology of Musculoskeletal Health and Aging, Belgium) “Sarcopenia Definition: What Gets Measured, Gets Done, and Saves Lives”라는 주제로, 근감소증의 정의와 측정이 임상 결과 개선 및 생존율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망할 예정입니다. Presidential Lecture에서는 대한골대사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계시는 신찬수 교수님께서(서울의대) “Parathyroid Carcinoma, Revisited”를 주제로 부갑상선암의 최신 병태생리와 치료 전략을 재해석하는 강연을 진행합니다.

연구와 진료 현장을 연결하는 Keynote Symposium에서는 “Body Composition and Musculoskeletal Health”를 중심 주제로 삼아 근감소증 치료, 비만과 골대사의 상호작용, 비만 치료 시 고려해야 할 골격계 영향 등 근육-지방-뼈의 통합적인 생체 네트워크를 다룰 예정입니다. 기초 심포지움에서는 Extracellular Vesicles, 유전자 조절 기전, 근육의 노화 과정 등 분자생물학적 접근을 통한 새로운 치료 표적이 제시되며, 임상 심포지움에서는 골다공증 치료 반응의 불확실성을 해결하기 위한 맞춤형 전략, 취약성 골절 환자의 통합 관리, FLS 기반 재골절 예방 등 실제 임상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근거 중심의 최신 지견을 폭넓게 논의하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학회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헌신해 주시는 모든 회원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리며, 이번 학술대회가 대한골대사학회가 국제적 위상을 더욱 강화하고 국내 골대사 연구의 비전을 확장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앞으로도 학회가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회원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아낌없는 응원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25년 11월

  • 이수영 / 대한골대사학회 회장 신 찬 수
    대한골대사학회 회장
  • 하용찬 / 대한골대사학회 이사장 백 기 현
    대한골대사학회 이사장
  • 김하영 / 대한골대사학회 학술이사 박 석 인
    대한골대사학회 학술이사
  • 박석인 / 대한골대사학회 학술이사 김 범 준
    대한골대사학회 학술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