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
김우진 |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
계층적 키틴 나노결정 기반 3D 프린팅 이중층 막 하이드로겔: 치조골 조직 재생을 위한 이중 약물 전달 나노 플랫폼에 대한 연구 |
|
김진우 |
이화의대 구강악안면외과 |
약물관련 악골괴사증 골미세환경의 공간적 규명 |
|
전옥희 |
고려의대 융합의학교실 |
혈중 노화연관 분비표현형 기반 노인성 근골격계 질환의 진단 및 치료 기술 개발 |
|
차용한 |
을지의대 정형외과 |
골다공증 환자들의 의료 불균형과 의료질 관련 지표들에 대한 분석 연구 |
|
2023년 |
박정위 |
서울의대 정형외과 |
보건의료 빅데이터 레지스트리를 활용한 뼈의 파젯병 환자의 국내 역학 및 의료 이용 현황 분석 연구 |
|
신영호 |
울산의대 정형외과 |
낙상 위험 인자인 신체 수행 수준이 원위 요골 골절에 대한 수술 후 회복에 미치는 영향 |
|
2022년 |
김경민 |
연세의대 내분비내과 |
기계학습을 통한 환자의 낙상 위험도 및 낙상 발생 예측 모델 구축 및 낙상 예방 |
|
공성혜 |
서울의대 내분비내과 |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활동량 정보를 통합한 딥러닝 기반 골절 예측 모델 개발 |
|
2021년 |
김근영 |
부산의대 핵의학과 |
다중오믹스를 활용한 골근감소증의 바이오마커 발굴 및 신약재창출에 의한 제어 기술 개발 |
|
2020년 |
하정훈 |
가톨릭의대 내분비내과 |
데노수맙 중단 후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투여의 임상적 유용성 |
|
2019년 |
김은희 |
부산의대 내분비내과 |
유방암환자에서 TBS의 골절 예측 지표로서의 가치 |
|
2018년 |
김상민 |
고려의대 정형외과 |
고령환자에게 발생한 고관절골절에서 체내 Vit. D 농도는 기능회복, 재골절, 그리고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가? |
|
윤병호 |
인제의대 정형외과 |
부갑상선 호르몬 제재의 적절한 사용기간에 대한 메타분석 |
|
홍남기 |
연세의대 내분비내과 |
기계학습 (machine learning) 을 이용한 고관절골절 및 주요 골다공증 골절 위험도 예측모델 수립: 국민건강보험공단 검진코호트 연구 |
|
2017년 |
유준일 |
경상의대 정형외과 |
고관절 골절 환자 골격근의 비타민 D 수용체 발현 |
|
김지완 |
인제의대 정형외과 |
폐경 후 여성 골절환자에서 비타민 D 결핍의 유병률 |
|
2016년 |
임미정 |
숙명여대 약학대학 |
Toll Like Receptor (TLR)에 의한 골대사 조절 기전 규명 |
|
안성희 |
인하의대 내분비내과 |
거핵세포 분비인자를 이용한 골형성 촉진용 비부갑상선호르몬계 골다공증 치료 표적 발굴 |
|
2015년 |
김범준 |
울산의대 내분비내과 |
고효율 약리 검색을 이용한 FFA4 활성 유효물질 확보 및 골대사 작용 검증 |
|
조영단 |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
후성유전학적 세포교차분화를 통한 골 재생 연구 |
|
2014년 |
이승훈 |
울산의대 내분비내과 |
새로운 골다공증 치료 표적으로써 ZFP462의 작용 및 기전 |
|
최형진 |
충북의대 내분비내과 |
중추신경계를 통한 골대사 조절 기전 규명 |
|
2011년 |
이영균 |
서울의대 정형외과 |
무증상 갑상선기능저하증을 가진 고령의 환자에서의 고관절 골절 수술 후 임상적 결과 |
|
2010년 |
공현식 |
서울의대 정형외과 |
"손목 골절 환자에서 FRAX와 골밀도 검사에 따른 골다공증 치료 역치의 비교 |
|
하현일 |
서울대 치의학생명과학산업단 |
골대사에서의 Gamma-secretase의 역할과 억제를 통한 골흡수 억제 및 골생성의 촉진의 동시 타겟팅 |
|
2009년 |
신정호 |
고려의대 산부인과 |
골다공증과 대사증후군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
|
조선욱 |
서울의대 내분비내과 |
골다공증 치료의 표적으로서 Wnt 조절제의 역할 규명 |
|
2008년 |
박진 |
아주의대 정형외과 |
토끼에서 ibandronate가 동종 이식 해면골 치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bandronate on healing of allogenous cancellous bone graft in rabbits) |
|
2007년 |
고정민 |
울산의대 내분비내과 |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한 골다공증 발생의 새로운 매개 인자의 발굴 및 그 기 전 연구 |
|